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란
교육심리학에서 심리적 행동에 하나로
교사의 기대에 따라 학습자의 성적이 향상되는 것을 말한다.
덧붙여 교사가 기대하지 않는 학습자의 성적이 떨어지는 것을
골렘 효과라고 한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교사기대 효과, 로젠탈 효과, 실험자 효과 등으로 불리고 있다.
피그말리온 효과는 무언가에 대한 사람의 믿음,
기대, 예측이 실제적으로 일어나는 경향을 말한다.
1964년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로버트 로젠탈에 의해 실험되었다.
원래는 그 전년에 로젠탈과 포드가 대학에서
심리학 실험으로 학생들에 쥐를 통한 미로 찾기 실험을 시켰다.
그 결과 쥐가 미로를 잘 빠져나오는 그룹과 그렇지 못한 그룹,
두 그룹간의 실험결과의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전자는 학생들이 쥐에게 정성을 다해 키운 반면,
후자는 쥐를 소홀히 취급했다.
이는 쥐에 거는 기대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다고 로젠탈은 생각했다.
이를 토대로 볼때 교사와 학생 간에도 이와 같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게 된다.
교육현장에서의 실험은
1964년 봄, 샌프란시스코의 초등학교에서
하버드식 돌발성학습능력예측 테스트라는 보통의 지능 테스트를 했다.
학급 담임에게는 앞으로 수개월 간에
성적이 오르는 학생을 산출하기 위한 조사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실제 조사에는 아무른 의미가 없었고,
실험시행자는 조사의 결과와 관계없이
무작위로 뽑은 아동의 명부를 학생 담임에게 보여주고,
명부에 기제 된 아동이 앞으로 수개월 간에 성적이 학생이라고 알려주었다.
그 후, 학급 담임은 아이들의 성적이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를 품었고,
확실히 그 아이들의 성적은 향상되었다.
학급 담임이 아이들에 한 기대가 성적 향상의 원인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게다가 아이들도 기대를 의식하였기 때문에 성적이 향상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상세히 정리한 보고서는
Rosenthal, R. & Jacobson,
L.:"Pygmalion in the classroom",Holt, Rinehart & Winston 1968로 간행되었다.
피그말리온이라는 명칭은 그리스 신화 속의 피그말리온 왕에서 유래되었다.
피그말리온 왕은 자신이 조각한 여성상을 진심으로 사랑하게 되었고,
이를 지켜본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그의 소원을 들어주어
조각상을 인간으로 만들었다.
이야기는 그리스 신화를 수록한
고대 로마의 오비디우스의《변신이야기》제10권에 수록되어 있다.
'알고 싶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브리드(hybrid) (0) | 2008.07.14 |
---|---|
G8(Group of Eight) 정상회담 (0) | 2008.07.08 |
플라시보 효과(placebo effect) (0) | 2008.07.05 |
노믈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 (0) | 2008.07.04 |
패닉(panic) (0) | 2008.07.03 |